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개항장 재구성
- 만북접경 새뜰마을사업
- 민선7기
- 인천비영리전시공간
- 문화적도시재생
- 대안공간듬
- 인천도시재생산업박람회
- 인천도시재생
- 대니라이온
- 2019년 인천도시재생지원센터 원도심 주민공모사업
- 윤대희의드로잉북
- 공간듬
- 오혁재1집앨범만들기
- 동구발품 #김현석 #화수동 #화수로 #화수교회 #쌍우물로 #골목길 #인천
- 인천대안공간
- 시각
- 비평그룹시각
- 개항장 재구성 – 주민의 기억으로 개항장 다시 읽기
- 인천도시재생센터
- 인천역사자료관
- 인천시민 #문화정책
- 21대 총선 #지역국회의원 #입법 #예술인 #예술인권리보장법 #토건주의 #인천시 #인천 #문화예술 #문화도시 #예술인복지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예술인고용보험 #공정생태계 #민주주의 #코로나19
- 주민이꾸미는마을
- 개항장문화적재생사업
- 박상규장인
- 마르빌
- 도지재생
- 인천밸류업
- 신일철공소
- 더불어잘사는균형발전방안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4)
비평그룹 시각

부평은 지금 커다한 변화를 준비하고 있다. 부평 도심 한가운데 있는 애스컴시티 미군기지에 있던 7개 캠프 가운데 유일하게 남아있는 미군부대 캠프 마켓이 경기도 평택으로 이전이 1년 이내에는 곧 이뤄지게 된다. 현재 부평 캠프마켓 미군부대는 가칭 신촌문화역사공원으로 지정되어, 현재 남아 있는 건축물들이 많이 보존된다. 그나마 다행이 아닐 수 없다. 현재 행정구역상 부평에는 도심 한가운데에 녹지가 큰 규모로 조성된 곳은 부평 캠프마켓이 유일하다. 역설적으로 미군 부대가 주둔하면서 이른바 블루벨트를 이룰 수 있었다. 개발로부터 이 땅을 보존할 수 있었다. 부평 애스컴시티 미군기지 5개 캠프가 철수한 그 땅에는 어김없이 빼곡하 게 아파트가 들어 서 있다. 부평 캠프마켓 미군부대 부지가 부평 시민들이 반환되면, ..

더보기 일 시 2019년 10월 8일 19시 장 소 문화양조장 진 행 정윤희(편집주간) 참 석 박상문(지역문화네트워크 공동대표) 이장열(MUSIC ART FAIR 대표), 오석근(미술가), 웁쓰양(미술가), 윤대희(공간‘듬’운영자), 이다솜(스페이스빔 총괄팀장) 기 록 김동균 (미술가) 글 편집부 정윤희(이하 정) ━━ 오늘 좌담회의 제목은 입니다. 본격적인 좌담회에 앞서 자기소개를 간단히 하고 시작하겠습니다. 김동균(이하 김) ━━ 저는 김동균입니다. 그림을 그리고 있고, ‘시각’지 편집위원입니다. 윤대희(이하 윤) ━━ 저는 윤대희입니다. 그림을 그리고, 신기시 장 쪽의 ‘공간 듬’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반갑습니다. 오석근(이하 오) ━━ 저는 오석근이고, 작가입니다. 인천태생으 로 인천을 주제로 많..

시각 속의 시각 배다리 관통도로 민ㆍ관 합의, 무엇을 남겼나? 민관 협치 성공사례? 지난 8월 21일 수요일 오전 11시 조금 못 미친 시각, 인천시청 2층 공감회의실에서는 가 열렸고, 이 자리에서

101호 발간을 시작하며 발간 주체가 ‘스페이스 빔’ 에서 ‘비평그룹 시각‘으로 바뀌었습니다. 그에 따라 100호까지 이끌어 오신 민운기 선생님으로부터 제가 편집주간을 잇게 되었습니다. 웹진도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변화를 결정한 이유는 이 비평과 담론 생산에 좀 더 집중적이고 열린 구조로 확장성을 갖고자 함입니다. 그리고 이번 호부터 ‘시각 좌담회’를 통해 시의성 있는 의제 중심의 작은 공론장을 만들려고 합니다. 금융화 시대에 인천시의 도시 정책 부재는 결국 지역의 문화자원을 활용하고 재생산하여 공동의 이윤을 만들어내기 보다는 역사문화와 삶 터전을 파괴하고 시민의 권리는 유리시킨 채 대규모 도시 프로젝트로의 집중을 야기했습니다. 결국 지대 창출을 위한 방안으로 도시, 공동체, 문화, 예술이 동원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