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인천밸류업
- 만북접경 새뜰마을사업
- 인천역사자료관
- 도지재생
- 오혁재1집앨범만들기
- 문화적도시재생
- 2019년 인천도시재생지원센터 원도심 주민공모사업
- 비평그룹시각
- 21대 총선 #지역국회의원 #입법 #예술인 #예술인권리보장법 #토건주의 #인천시 #인천 #문화예술 #문화도시 #예술인복지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예술인고용보험 #공정생태계 #민주주의 #코로나19
- 민선7기
- 인천비영리전시공간
- 인천대안공간
- 인천도시재생산업박람회
- 인천도시재생
- 신일철공소
- 공간듬
- 개항장 재구성
- 인천시민 #문화정책
- 주민이꾸미는마을
- 개항장문화적재생사업
- 동구발품 #김현석 #화수동 #화수로 #화수교회 #쌍우물로 #골목길 #인천
- 대안공간듬
- 더불어잘사는균형발전방안
- 인천도시재생센터
- 시각
- 윤대희의드로잉북
- 박상규장인
- 대니라이온
- 마르빌
- 개항장 재구성 – 주민의 기억으로 개항장 다시 읽기
- Today
- Total
목록그물코_시각 (3)
비평그룹 시각

공간 듬 운영과 활동에 관한 소회 윤대희 작가/ 공간 '듬' 대표 (‘이하 듬’)은 2014년 12월에 으로 시작한 문화공간입니다. 저희는 이 작업공간을 (‘이하 꿈’)라고 부릅니다. 주로 시각예술을 전시하는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가끔 음악공연과 퍼포먼스를 기획하여 공연장으로 활용하기도 합니다. 은 작업실 및 수업 그리고 스터디룸 등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곳에서는 2017년부터는 주기적으로 영화 상영을 하고 있습니다. 은 현재 다용도 공간이지만 개관 당시에는 카페였기 때문에 초기에는 에서 전시 위주로 운영을 했습니다. 그런데 얼마 후 을 카페 대신 작업실로 용도 변경하게 되면서 전시와 함께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시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작가로서 활동과 공간을 운영하면서 카페를 유지하는 것이..

어릴 적 친구가 살았던 인천 동구의 만석동에서 2017년 ‘만북접경 새뜰마을사업’ 마을활동가로 일을 시작하게 되었다. 동구는 ‘도시재생’이란 사업 선정 기준에 적합한 조건과 환경을 가지고 있는 것 같다. 낙후된 주거환경, 노후된 주택, 고령화, 인구감소... 그래서 그런지 동구는 많은 도시재생 사업들에 선정되었고, 현재 곳곳에서 사업들을 실행하고 있다. 그 중의 하나인 만북새뜰마을사업으로 마을에 들어와 재생사업의 실행 목적과 마을의 겉모습만을 처음 본 후 이 사업이 현재 살고 계신 주민 분들에게 매우 필요한 내용으로 잘 선정되었다고 생각했고, 앞으로 주민 분들과 재미있는 활동과 마을을 만들어가는 꿈으로 들떠 있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행복을 꿈꾸던 생각이 점점 바뀌게 되었다. 우리 마을은 다른 마을..

지난해 11월, 빙고 옆 옹노에서 열린 전시는 인천 개항장을 관광지가 아닌 주민의 삶터로 조명하고자 한 시도였다. 이를 위해 개항장에서 거주하고, 일하고, 활동하는 30명의 주민을 인터뷰했다. 그들에게 개항장과 연관된 기억과 추억을 물어보았고, 개항장이 어떤 의미가 있는 동네인지 살펴보고자 했다. 이번 전시는 개인적으로 품고 있던 2가지의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첫 번째는 인천 개항장이 너무 ‘관광지’로만 부각되고 있다는 점이었고, 두 번째는 인천 대학생들은 인천에 관심이 없고 졸업 후 서울로만 향한다는 것이었다. 이를 더 많은 사람과 공유하고, 미약하게나마 문제의 실타래를 풀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 ‘2019년 인천도시재생지원센터 원도심 주민공모사업’에 지원했다.이 사업을 통해 이루고자 했던 건 크게..